728x90 전체 글182 인류는 어디에서 왔고 어디로 가는가, 김상욱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 ※ 물리학 교수 김상욱이 바라본 우주와 물리 그리고 인류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세상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물리의 경계를 넘어서야 한다. 이 책은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경계를 넘은 물리학자의 좌충우돌 여행기이자, 세상 모든 것에 대해 알고 싶은 사람을 위한 지도책이다. - 김상욱(저자)물리학자 김상욱이 바라본 우주와 인간 원자에서 인간까지한 권으로 관통하는 삶과 과학의 향연차례1장.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2장. 내 이름은 원자 3장. 물질을 만드는 세 가지 방법 4장. 물리학의 관점으로 본 지구 5장. 핵과 별 그리고 에너지의 근원 6장. 기본 입자가 빚어내는 우주의 신비 7장. 생물은 화학 기계다 8장. 생물은 정보 처리 기계인가 9장. 최초의 생명체와 진화 10장. 다세포 생물에서 인간까지 11장.. 2023. 8. 24. 가장 자유로운 국가에서 발전한 그렇지 못한 믿음에 대한 이야기, 룰루 밀러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 보편적 믿음과 가치, 상실과 사랑, 그리고 삶의 질서와 진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적극 추천드립니다. '어류'라는 범주가 이 모든 차이를 가리고 있다. 많은 미묘한 차이들을 덮어버리고, 지능을 깎아내린다. 그 범주는 가까운 사촌들을 우리에게서 멀리 떼어놓음으로써 잘못된 거리 감각을 만들어내는데, 이는 상상 속 사다리에서 우리가 차지하는 제일 윗자리를 유지하기 위해서다. - 룰루 밀러(저자) 사랑과 혼돈, 과학적 집착에 관한 룰루 밀러의 경이롭고도 충격적인 데뷔작! "다른 세계는 있지만, 그것은 이 세계 안에 있다" 상실, 사랑 그리고 숨어있는 삶의 질서에 관한 이야기 차례 1. 별에 머리를 담근 소년 2. 어느 섬의 선지자 3. 신이 없는 막간극 4. 꼬리를 좇다 5. 유리단지에 담긴 기원 6. 박살.. 2023. 8. 12. 공감능력을 잃어버린 인류에게 필요해진 호감능력, 이토 마사아키 <플레이밍 사회> ※ 캔슬컬처와 해시태그 운동, 그리고 플레이밍 사회현상에 대해 공부하고 싶은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공감'은 타인에 대한 상상력에 근거해 타인이 어떻게 느끼는지를 이해한다는 의미였다. 그에 반해 '동감'이나 '호감'은 타인의 의견이나 인상에 대한 평가에 근거해 어디까지나 자신이 어떻게 느끼는지를 표명하는 것이다. 거기서는 타인의 감정으로 들어가는, '어느 정도까지 그와 같은 인물이 된다'라고 하는 상상력이 요구되지는 않는다. - 이토 마사아키(저자) '활활 타오른다'는 의미로 비난, 비방 등의 글이 빠르게 올라오는 현상 '플레이밍'은 더 이상 특이한 현상이 아니다. 누가, 왜 논란에 불을 붙이고 화재를 일으키는가 차례 1장. 자숙 경찰과 신자유주의 2장. 소셜 미디어의 논리와 신자유주의 정신 3장. 해시.. 2023. 8. 2. 지정학 시대를 위한 보편적 가치저장수단 비트코인, 오태민 <비트코인, 그리고 달러의 지정학> ※ 달러를 중심으로 흘러가는 역사와 지정학 그리고 비트코인에 대해 공부하고 싶은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미국이 비트코인을 가만두지 않을 것이다.'라는 반론에는 약간 긴 답변이 필요했다. 그래서 자료를 모으고 정리하다 보니 비트코인 책이 아닌 지정학 책이 되어 버렸다. - 오태민(저자) 2차 세계대전, 브레턴우즈 시스템, 미중갈등 등 '미래를 지배할 돈'을 이해하는 필수 지정학 미중 패권전쟁과 변화하는 세계질서의 규칙 차례 1장. 세력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미국의 분투 - 01. 지정학의 시대가 돌아오다 ~ 18. 마침내 고립주의 전성시대가 다가오는가? 2장. 세계체제의 비용 - 19. 달러 CBDC와 보편질서의 갈망 ~ 39. 비트코인의 지정학 ▶ 저자 소개 작가 오태민 오태버스 주식회사의 대표이자 건국대.. 2023. 7. 21. 다시 한번 메타버스 붐은 온다, 우탁·전석희·강형엽 <메타버스의 미래, 초실감 기술> ※ 메타버스에 대해 공부하고 싶은 분들께 추천드립니다.메타버스를 실현시키는 미래 기술을 통해 메타버스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제시하는 이 책이 가상현실과 메타버스 연구에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 우탁·전석희·강형엽메타버스(METARVERSE): 메타(Meta) + 유니버스(Universe) 햅틱스, 게이미피케이션, VR, AR, MR, XR 기술 기존 메타버스의 한계를 뛰어넘는 초실감 기술의 세계!차례01. 현실에 판타지를 결합한 가상세계, 메타버스 - 1. 메타버스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 2. 새로운 형태의 가치를 거래한다: 메타버스 비즈니스 - 3. 메타버스의 과거: 메타버스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 4. 메타버스의 현재: 가상·현실 경계 허문 '메타버스'가 펼치는 세상 - 5. 메.. 2023. 7. 15. 계획대로 흘러가지 않는 것이 인생, 홍선기 <너는, 어느 계절에 죽고 싶어> 역설적이게도 그게 문제였다. 삶의 균형이 완전히 무너져 내렸다. 긴장감과 절박함이 사라져 버린 탓이다. 실패는 한숨을, 성공은 하품을 불러왔다. 너무 이른 나이의 축배는, 남들 눈에는 선망과 부러움과 질투의 대상일지언정, 당사자에게는 독이 든 성배였다. - 스물여섯에 남부럽지 않은 성공을 한 주인공 케이시 모든 것을 다 가진 듯, 누구나 원하는 삶을 살고 있는 케이시 하지만 그는 정작 그 가슴속에 무언가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성공, 연애, 그리고 삶 차례 01. 가즈키 - 런던에서 만난 인디와 살라 02. 케이시 - 자기 암시 기법 03. 가즈키 - 도쿄, 지유가오카 04. 케이시 - 인간쇼핑 05. 하츠네 - 달빛과 별빛을 충분히 즐길 수 있도록 06. 케이시 - 셀프헬프 07. 가즈키 - 지금은 어.. 2023. 7. 2. “어머 이건 꼭 사야 해!” 소비사회 시대정신, 소스타인 베블런 <유한계급론> 베블런의 저서 중 가장 흥미로운 책이다. 그는 당대에 두각을 드러내며 아주 탁월하게 미국 사회를 풍자한 사회 비평가이다. - 타임(TIME) 과시적 소비 현상을 예리하게 분석하고 비판한 경제학 고전 차례 제1장. 서장 제2장. 금전적 경쟁 제3장. 과시적 여가 제4장. 과시적 소비 제5장. 금전적 생활수준 제6장. 금전이 좌우하는 취향의 기준 제7장. 금전 문화를 표현하는 의복 제8장. 노동 면제와 보수주의 제9장. 태곳적 특징의 보존 10장. 현대 사회에서 발견되는 용맹성의 흔적 제11장. 행운에 대한 믿음 제12장. 독실한 종교 예식 제13장. 비-차별적 이해관계의 잔존물 제14장. 금전 문화를 표현하는 고등교육 ▶ 저자 소개 저자 소스타인 베블런(Thorstein Bunde Veblen) 미국출신의.. 2023. 6. 24. 잠이 오지 않는 일요일 밤의 잡생각 나는 가끔 우리 부모님이 누리지 못했던 것들을 즐기고 있다는 생각이 들곤 한다. 그리고 그 생각이 들 때마다 가슴이 뭉클해진다. 자신의 꿈이 무엇인지 자아의 삶이 있는지조차 알지 못한 채 그저 자식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 자신들에게 주어진 자유와 시간을 쏟아야 했던 그들의 노력에 감탄하기까지 한다. 어찌 보면 부모 된 도리로서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이라고도 볼 수 있겠지만, 반드시 그러한 부모를 만날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는 것엔 나의 운이 참으로 좋다는 생각도 든다. 그런 의미에서 자식이 없는 내가 지금 현실에서 누리고 있는 대부분의 것들은 사실상 과분하다. 자유롭게 먹고 싶은 것을 먹고, 읽고 싶은 것을 읽고, 하고 싶은 것을 하고, 나의 뜻대로 나의 선택을 결정지을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이미 나는 엄.. 2023. 5. 26. 사회주의 계획경제에 대해서,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노예의 길> 이 책은 이제 진정한 의미에서 고전의 반열에 올랐다. 이 책은 이제 가장 광범하고도 비당파적인 의미에서 정치학에 깊은 관심을 가진 사람들에게 필독서가 되었으며, 다양한 구체적 상황이나 특정한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점에서는 1944년 처음 발간되어 센세이션을 일으켰을 당시보다 현재의 미국에 더 잘 적용될 수 있는 핵심 메시지를 담고 있다. - 밀턴 프리드먼(Milton Friedman) 사회주의 계획경제의 진실 차례 제1장. 버려진 길 제2장. 위대한 유토피아 제3장.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제4장. 계획의 불가피성 제5장. 계획과 민주주의 제6장. 계획과 법의 지배 제7장. 경제적 통제와 전체주의 제8장. 누가, 누구를? 제9장. 보장과 자유제 10장. 왜 가장 사악한 자들이 최.. 2023. 4. 29. 이전 1 2 3 4 5 6 7 8 ··· 21 다음 반응형